개발사 입장에서 작성하는 요구사항 정의서는 마찬가지로 현업과의 약속이자 프로젝트 발의 당시 검토했던
기능 구현방안과 일정, 리스크 등을 서술해놓은 문서입니다.

 

개발사의 관점에서 제작한 요구사항 정의서는 현업에게 전달받은 요구사항을 기능 구현 관점에서 세부적으로 분해한 내용이 있어야 합니다.

현업이 비교적 비지니스 이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민한다면, 개발사는 구현 가능여부, 일정, 리스크(side-effect), 확장성 등을 고민해야 합니다.

 

개발사는 현업이 요청한 요구사항을 원하는 일정에 맞춰 리스크가 적고 확장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도록 고민해야 합니다.

사내 개발인력 관리 및 필요 시 외부인력 투입 검토, 시스템이 올라가는 인프라에 대한 검토 및 자체 일정관리에 비용을 투자해야 합니다.

 

개발사는 현업에 막연히 최대치 이상의 인력과 일정에 대한 버퍼가 고려된 공수를 요구한다면 파트너간 신뢰를 잃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필요한 자원에 대한 요구는 견적에 반드시 기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납득이 가능한 수준의 요구를 합리적이고 누구나 납득이 가능하도록 현업에게 설명할 수 있도록 많은 준비가 필요합니다.

 

현업이 개발사로부터 산출되기 원하는 요구사항 정의서는 아래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합니다.

  1. 현업이 전달한 요구사항을 세부적인 기능 단위로 나열 -> 가능여부 | 일정 | 리스크 | 사유 | 비고
  2. 실제 로직을 구현하는 입장에서 검토할 수 있는 기능의 확장성에 대해 현업에서 참고할만한 의견
  3. 신기술 및 인프라 고도화에 대한 기술 의견
* 요구사항 정의서 페이지 구성요소
----------------------------현업문서 참고----------------------------
1) IDX
2) 환경
 -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처 종류 (WEB or APP)
3) 구분
 - 기능이 작동하는 모듈 별 묶음 단위
 ex) 상품, 재고, 회원 등
4) 구분 IDX
5) 요구사항 명
 - 기능 구현이 필요한 요구사항에 대한 명칭
----------------------------개발사 의견 작성----------------------------
6) 요구사항 상세
 - 기능 구현이 필요한 요구사항에 대한 위치(화면주소)와 동작원리에 대한 상세한 내용
7) 기능 별 구현 가능여부
 - 불가능 시 대안책 제시
8) 기능 별 구현 일정
9) 비고
 - 기능에 대한 의견을 기록
현업 입장에서 요구사항 정의서는 개발사와의 약속이자 프로젝트 발의 당시 원했던 시스템을 통한 비지니스 성장 방향을 서술해놓은 중요한 문서입니다.

 

현업의 관점에서 제작한 요구사항 정의서는 비교적 비지니스 이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요구사항 별로 작성합니다.

 

현업은 사내의 인적/물적 자원을 통해 더 높은 수익을 창출해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비용을 투자합니다.

신규 수익을 창출해내거나, 기존에 나갔던 비용을 절감하여 이익율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막대한 비용을 투자한 시스템은 단순히 담당자가 일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거나, 복잡한 단순 계산 업무를 대신해주기 위해 존재하지 않습니다.

 

현업이 원하는 시스템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반복적인 업무를 관리형 시스템으로 대체함으로서 생길 수 있는 공수의 확연한 절감
  2. 직무 별로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유기적으로 순환시켜주는 연동형 시스템
  3. AI/ML 등 복잡한 계산식의 정답을 고도화된 알고리즘을 통해 산출해내는 생산형 시스템
* 요구사항 정의서 페이지 구성요소
1) IDX
2) 환경
 -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처 종류 (WEB or APP)
3) 구분
 - 기능이 작동하는 모듈 별 묶음 단위
 ex) 상품, 재고, 회원 등
4) 구분 IDX
5) 요구사항 명
 - 기능 구현이 필요한 요구사항에 대한 명칭
6) 요구사항 상세
 - 기능 구현이 필요한 요구사항에 대한 위치(화면주소)와 동작원리에 대한 상세한 내용
7) 요청자(요청부서)
8) 정량, 정성적 수익
 - 해당 요구사항이 비지니스에 미치는 수익(매출성장) 관점 영향도 분석 내용
9) 비고
 - 히스토리, 예외 사유 등을 기록

* 출처: https://brunch.co.kr/@toqha7822/15

메뉴 구조도는 시스템에 구축되어 있는 (1)메뉴와 화면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2)화면의 종류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시각화해놓은 표를 의미합니다.

Depth1 -> 메뉴 종류
Depth2 -> 메뉴 內 화면 종류
Depth3 -> 화면 內 섹션 별 구성요소의 역할

 

출처 : https://kun-hee.tistory.com/52

 

+ Recent posts